본문바로가기

생활정보NAMGU OFFICE

  1. 생활정보
  2. 경제/일자리
  3. 대구형 희망플러스 일자리사업

대구형 희망플러스 일자리사업

대구형 희망플러스 일자리사업 목적

  • 청년 및 저소득층 실직자들의 생계안정을 위하여 한시적 일자리를 제공
  • 특히 청년층이 본 사업을 통한 일 경험 축적으로 취업역량 강화 및 청년실업 해소

대구형 희망플러스 일자리사업 개요

  • 예산현황 : 1,800백만원
  • 선발예정 : 380명 정도
  • 단계별 사업기간
    • 1단계 : 2023. 2. 6 ~ 4. 28 (접수기간 : 2023. 1. 2. ~ 1. 9.)
    • 2단계 : 2023. 5. 8 ~ 7. 28 (접수기간 : 2023. 4. 3. ~ 4. 10.)
    • 3단계 : 2023. 9. 4 ~ 11. 24 (접수기간 : 2023. 7. 31. ~ 8. 7.)

사업내용

  • 정보화추진사업, 공공서비스지원사업, 환경정화사업, 기타사업

신청자격

  • 사업시작일 현재 만 18세 이상 근로능력 있는 시민이면서 실업자 또는 정기소득이 없는 일용근로자
  • 가족 합산 재산이 4억원 이하인 자, 가구소득이 기준 중위소득 70% 이하인 자

배제대상

  • 「국민기초생활보장법」상 생계급여 · 의료급여 수급자, 실업급여 수급자
  • 가구소득이 기준중위소득 70%를 초과하거나, 가족 합산 재산이 4억원 초과인 자
  • 1세대 2인 신청자
  • 접수 시작일 기준, 정부 직접일자리사업 연속 2회 참여한 자
  • 공무원의 배우자, 자녀(사립학교 교직원 포함)
  • 전업 농민이나 그 배우자
  • 정기소득 있는 자 (직장 건강보험 가입자, 국민연금 가입자, 사업자등록이 되어 있는 자)
  • 접수시작일 기준 최근 3년간 재정지원 직접일자리(180일 이상) 사업 2회 초과 반복 참여자
  • 정부 및 지자체 주관 직접일자리 사업 중복 참여자
  • 재정지원 직접일자리사업 참여 후 실업급여를 받고 최종수급일에서 90일 경과하지 않은 자
  • 직전 단계 참여 중 정당한 사유 없이 중도포기한 자 및 강제 퇴임한 자
  • 재학중인 학생 (단, 대학교·대학원 졸업예정자, 휴학생, 방송통신대학·사이버대학· 야간대학(원) 재학생은 신청 가능)
  • 참여신청 관련 서류를 제출하지 않거나 누락하여 제출한 자
  • 지병이나 건강 쇠약 등으로 근로가 곤란하다고 판단되는 자

선발주체

  • 『대구형 희망플러스 일자리 위원회』 심의를 거친 선발기준에 의거 선발

선발시 고려요소

  • 연령, 가구소득, 재산상황(주민등록상 세대기준)
  • 세대주 여부, 한부모세대주 여부, 부양가족, 장애인 여부
  • 과거 사업시간중 중도포기횟수, 근무태만이나 근로능력 미달로 경고를 받은자

임금 및 근로조건

  • 근무시간 : 1일 6시간(09:00~16:00)근무원칙 (단, 일부사업은 근무시간이 다를 수 있음)
  • 임금단가 : 시간당 9,620원
  • 4대보험 가입 : 국민연금, 건강보험, 고용보험, 산재보험
  • 주·연차 수당 : 1주(5일)만근시 1일간의 주휴수당, 1개월 만근시 1일 연차수당 지급

신청접수

  • 주소지 동 행정복지센터
제1유형: 출처표시 공공누리 공공저작물 자유이용 허락
위 기사는 "공공누리" 제1유형:출처표시 조건에 따라 이용 할 수 있습니다.

현재페이지의 내용과 사용편의성에 만족하십니까?

사용편의성 만족도
자료관리 담당자
시장경제과 문혜미 (☎ 053-664-2614)
최근수정일 :
2023.07.05